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9)
충청도 법사의 굿 법사의 앉은굿 충청도에는 세습무당인 당골과 강신무당인 법사(法師)의 전통이 양존합니다. 오늘은 요즘 충청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법사의 굿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충청도에는 법사라고 부르는 남성 강신무당이 많습니다. 법사는 신당에 앉아서 북(barrel drum)과 징(large gong)을 치면서 경(sutra)을 읊조리면서 굿을 합니다. 이렇게 앉아서 굿을 하기 때문에 법사의 굿은 흔히 '앉은굿(lit. 'sitting ritual')'이라고 합니다. 법사는 무가를 부르면서 타악기를 연주하는데, 대개 징을 연주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북이나 꽹과리(small gong), 장구(hourglass-shaped drum)도 연주합니다. 이는 마치 불교 승려가 목탁을 연주하면서 불경을 읊는 모습을 연상시..
충청도의 굿과 음악 충청도의 세습무 전통 충청도에는 세습무당(hereditary shaman)인 당골과 강신무당(spirit-descended shaman)인 법사(法師)의 전통이 양존합니다. 오늘은 요즘 충청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세습무의 굿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충청도 은산 별신제 영상 보겠습니다. 충청도에는 전라도와 마찬가지로 세습무당인 당골이 있었습니다. 당골은 다른 세습무당과 마찬가지로 시어머니에서 며느리로 전승되는 당골판(shaman area)과 굿음악을 지켜왔습니다. 세습무당이 점차로 사라지는 현실에서 충청도 당골은 이제는 거의 흔적을 찾기 어려울 정도가 되었습니다. 은산 별신제 충청도 은산에서는 매년 소제(small scale ritual)인 유교식 제사, 즉 산제(mountain ritual)를 지..
시나위의 어원과 역사 시나위의 어원과 역사 전라도 굿의 반주음악을 시나위라고 합니다. 시나위란 용어는 경기도 이남을 비롯하여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동부에 이르는 세습무당권에서 굿판의 음악을 의미합니다. 시나위의 악기편성은 본래 삼현육각이었지만, 요즘 전라도에서는 피리, 대금, 장구, 북, 징 외에 아쟁이 더해지기도 합니다. 시나위의 어원은 고대시대의 '향가(鄕歌)'라고 합니다. 향가를 '사뇌가' 또는 '사내가'라고 했는데, '사뇌' 또는 '사내'가 시나위의 어원이라고 합니다. 향가를 우리는 국어시간에 문학작품으로 배웁니다. 그러나 향가는 '노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래 가(歌)'자를 쓰는 겁니다. 향가는 노래로 불렀고, 노래를 반주하는 음악이 있었을 겁니다. 향가가 결국 시나위의 기원이 되는 것입니다. 그만큼 시나위..
전라도 굿음악과 판소리의 공통된 장단 전라도 굿음악과 판소리의 공통된 장단 전라도 굿음악에서 연주하는 여러 장단(rhythmic cycle)은 판소리(epic vocal genre)에서도 연주하는 장단입니다. 전라도 굿음악이 판소리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입증합니다. 전라도 굿음악의 대표적인 장단 전라도 굿에 연주하는 장단인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엇모리 등은 판소리와 산조에도 쓰이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굿거리와 자진굿거리, 살풀이, 흘림 이런 무가를 반주하는 장단으로 쓰입니다. 장단의 종류와 특징 진양 전라도 구두막 장단 중에서 가장 느린 장단이 진양입니다 진양장단은 6박 장단이 몇 개가 모여서 한 집(lit. 'house')이라는 큰 단위(bigger unit)를 이루는데, 대개 넷이 모인 24박이 한 집을 이룹니..
전라도 무가, 판소리의 기반이 되다 전라도 무가, 판소리의 기반이 되다 전라도 무당이 부르는 노래는 판소리(epic vocal genre)의 모태가 된다고 합니다. 이전 시간에도 몇 번 들었지만 전라도 무당의 노래는 예술성의 극치를 이룹니다. 전라도에 가장 예술성이 뛰어난 여성으로 흔히 '진도의 3례(The three 'rye's on Jindo Island)'를 듭니다. 이전에 몇 번 들었던 진도 당골인 김대례 외에 진도 당골인 채정례와 국가무형문화재 남도들노래(farming song in southern procince)의 예능보유자였던 조공례 이렇게 3명입니다. 이들은 모두 이름의 마지막 자가 '례' 자가 들어가기 때문에 이들 3명을 '진도의 3례'로 듭니다. 전라도 무당의 노래는 남도음악의 특징인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습니다. ..
전라도의 씻김굿 종류와 목적 전라도의 씻김굿 전라도에는 사람이 죽었을 때 하는 굿이 많습니다. 사람이 죽었을 때 하는 굿을 학계에서는 망자천도(亡者遷度)굿(shamanic séance)이라 합니다. 보통은 오구굿 혹은 오귀굿이라고 합니다. 또한 이를 지방에 따라서 함경도에서는 망묵굿, 평안도에서는 다리굿, 황해도에서는 시왕굿 또는 수왕굿 등으로도 부릅니다. 전라도에서는 이를 씻김굿이라고 합니다. 씻김굿이란 죽은 이의 영혼을 씻어서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굿이라는 의미입니다. 씻김굿의 종류와 목적 전라도에서 씻김굿은 굿을 하는 시기와 내용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초상이 났을 때 시신을 둔 채로 하는 굿을 곽머리('곽(coffin)의 머리'라는 의미) 씻김굿이라 합니다. 특별히 날을 받아서 하는 굿을 날받이(특별한 '날[日]을 받는..
전라도 굿판의 악사 전라도 굿판의 악사 전라도 굿판의 악사(shaman musician)를 '고인'이라고 합니다. 이 용어는 '북을 연주하는 이'라는 의미로 '북 고 자 사람 인 자를 써서' '고인(鼓人)'이라고도 합니다. 그러나 고인이라는 호칭은 본래는 전통사회에서 궁중 악사(court musician)를 일컫는 '고인(工人)'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서울 굿판의 악사를 '전악'이라고 하는데, 이 말도 궁중 악사를 일컫는 말입니다. 결국 굿판의 악사를 일컫는 말은 궁중 악사를 일컫는 말에서 나온 것입니다. 궁중음악과 굿음악이 서로 교류를 했다는 사실을 굿판의 악사를 일컫는 용어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전라도 굿판 악사의 예술성 전라도 굿판의 악사들은 집안 대대로 무업을 잇는 세습무가(hereditary shaman fam..
전라도 굿의 특징과 유래 전라도 굿의 특징과 유래 전라도 굿은 세습무당(hereditary shaman)이 전승하는 굿입니다. 전라도 무당이 부르는 무가(shaman song)와 춤, 그리고 악사가 연주하는 음악에서 많은 공연예술이 탄생했습니다. 그 정도로 전라도 굿은 예술적 완성도가 뛰어납니다. 전라도 무당은 세습무당으로서 '당골' 또는 '단골'이라고 부릅니다. 당골/단골은 '당(shrine)/단(alter)을 모시는 고을'이라는 의미이고, '당/단을 관리하는 이'이라는 의미로 '당골네/단골네'라고 합니다. 이 것이 정설입니다. '텡그리'는 천지를 창조하고, 세상을 다스리는 신입니다. 세계사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진 원나라를 건설한 칭키스칸이 전쟁에 나가기 전에 늘 '텡그리'에게 출전할 날을 점쳤다고 합니다. 고조선을 건국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