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무당 풍습과 굿판

서울의 무당이 부르는 무가

서울의 무당이 부르는 무가

서울의 무당이 부르는 무가
서울의 무당이 부르는 무가

서울 굿에서 주로 부르는 무가로 청배(lit. 'invite spiritis')) 만수받이(lit. 'receive ten-thousand years')) 노랫가락(lit. 'song tuens') 타령 등이 있습니다. 청배와 만수받이는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ushering songs)이고, 노랫가락과 타령은 신을 놀리는 오신무가(entertaining songs)입니다. 청배는 신을 굿판에 청하는 무가입니다. 서울 굿의 첫 굿거리인 부정거리(sequence to cleanse the ritual place)에서 부릅니다. 만신은 스스로 장구(hourglass shaped drum) 반주를 하면서 노래를 부릅니다. 처음에 보신 동영상이 바로 청배 무가입니다. 만수받이는 신을 청하는 황해도 만세바지와 마찬가지로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입니다. 황해도 만세바지는 10/8박 장단에 부르는데 비하여 서울 만수받이는 12/8박 장단에 부릅니다. 만신이 만수받이 반 장단(rhythmic cycle)을 노래하고 조무(assistant shaman)나 반주악사가 나머지 반 장단을 받아 부릅니다. 이렇게 한 사람이 앞부분을 먼저 부르고 다른 사람이 뒷부분을 부르는 음악형식을 '메기고 받는 형식(call-and-response form)'이라고 합니다. 메기고 받는 형식은 우리나라 민요와 무가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음악형식입니다.

서울 굿 - 노랫가락의 특징

서울 굿 무가 중에서 가장 많이 불리지만, 가장 어려운 노래가 노랫가락입니다. 노랫가락은 굿판에 모셔진 신을 즐겁게 놀리는 기능을 하는 노래입니다. 노랫가락은 악사들의 반주에 맞추어 부릅니다. 노랫가락의 장단은 5박과 8박 장단의 혼합된 매우 복잡한 것입니다. 전통사회에서 양반들이 부르던 시조도 5박과 8박 장단이 혼합된 음악적 특징을 갖습니다. 노랫가락의 형식도 3장 형식인 시조와 같이 초장·중장·종장의 3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결국, 노랫가락은 무당들이 양반들의 음악을 본따서 만든 것입니다. 노랫가락과 더불어 서울 굿에서 가장 자주 부르는 노래가 타령입니다. 타령은 만신이 굿의 중간중간에 굿판에 모인 단골에게 신의 계시인 공수를 주면서 부르기도 하고, 굿판의 흥을 돋우기 위해 부르기도 합니다. 타령은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노래합니다. 타령은 굿거리에 따라 다른 사설이 부르고, 사설에 따라 제목을 달리 합니다. 예를 들어 불사거리(sequence for Buddhist deities)에서 '어떤 중상이 나려오나' 하는 사설을 갖는 타령은 전국적으로 많이 분포된 중타령입니다.

창부신

굿판에서는 음악을 담당하는 예능신(entertainment deity)을 창부(倡夫)신이라 하고, 창부신을 모시는 굿거리가 창부거리(sequence for entertainment deities)입니다. 이 때 부르는 타령이 가장 유명한데, 이를 창부타령이라 합니다. 이 노래는 매우 흥겹고 굿판에서 자주 부르는 것이어서, 굿판에 왔던 사람들이 잔치판에서도 부르면서 창부타령은 서울을 대표하는 민요가 된 것입니다. 서울 무가는 신을 굿판에 모시는 청배와 만수받이가 있고, 굿판의 신을 놀리는 노랫가락과 타령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서울 굿에서는 많은 노래를 부릅니다. 노래를 통해 신을 모시고 즐겁게 하는 인간의 소망이 무당의 무가에 담겨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