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무당 풍습과 굿판

서울의 무당의 춤과 의식을 반주하는 음악

서울 굿음악이 궁중음악의 영향을 받은 사례

서울의 무당의 춤과 의식을 반주하는 음악
서울의 무당의 춤과 의식을 반주하는 음악

서울은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의 수도였기 때문에 서울 굿음악은 궁중음악(court music)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예를 들어, 궁중에서 무용반주음악으로 연주하는 자진한잎[數大葉], lit. 'fast large leaf'이라는 음악을 서울 굿에서는 신을 모시기 위한 거상악(music for offering tables)으로 연주합니다. 자진한잎은 본래 성악음악인 가곡(lyric song)을 기악음악으로 만든 음악입니다. 자진한잎은 궁중에서는 주로 관악기 중심의 합주음악으로 궁중의 무용을 반주하는 음악입니다. 이 음악을 대금이나 단소 등의 독주음악으로 만든 것이 유명한 청성곡(lit. 'clean sound tune')이라고도 하는 청성자진한 잎입니다. 청성곡은 대나무의 맑고 높은 소리로 연주하는 음악이라는 의미입니다.

궁중음악과 굿음악의 유사성

굿판에서는 자진한잎을 신을 모시는 '거상악(music for offering tables)'으로 연주합니다. '거상악'이라는 명칭도 궁중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거상악은 '음식상(table)을 올리면서 [offer] 연주하는 음악'이라는 의미로서, 궁중의 잔치에서 상을 올릴 때 연주하는 음악입니다. 굿판에서는 신을 모시기 위한 상을 올릴 때와 신에게 절을 할 때 거상악을 연주합니다. 궁중이나 굿판이나 거상악으로 연주하는 악곡이 자진한잎입니다. 물론 궁중에서 연주하는 악곡과 굿판에서 연주하는 악곡은 선율이 약간은 다르기는 합니다. 그러나 굿판에서 연주하는 악곡은 궁중의 자진한잎을 민간 악사들이 받아들인 것입니다. 즉, 자진한잎은 궁중과 굿판의 음악적 교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풍류를 통해 본 음악적 교류

서울 굿판에서는 대[竹]풍류를 주로 연주합니다. 대풍류는 '대[竹]' 즉 관악기 중심의 풍류음악을 말하는데, 주로 삼현육각 편성으로 무용을 반주하는 음악입니다. 대풍류도 자진한잎과 마찬가지로 궁중과 민간에서 두루 연주되는 악곡입니다. 물론 대풍류도 궁중과 민간의 악곡이 차이가 있습니다. 궁중에서는 관악기 위주의 악곡이라는 의미로 관악영산회상이라고도 하고 삼현육각 편성의 악곡이라는 의미로 삼현영산회상이라고도 합니다. 이 음악은 궁중무용을 반주하는 음악으로 많이 연주합니다. 민간에서 연주하는 대풍류는 두 가지가 있는데, 염불풍류와 취타풍류가 있습니다. 보통 대풍류라고 하는 곡목은 염불풍류를 말합니다. 염불풍류는 관악영산회상의 염불과 타령을 변주한 음악입니다. 취타풍류는 관악영산회상의 취타, 군악, 타령을 변주한 음악입니다. 이렇게 궁중과 민간에서 연주되는 대풍류는 다른 점이 있지만, 민간의 대풍류는 궁중 관악영산회상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습니다. 서울 굿음악은 궁중음악과 굿음악의 상호교류의 흔적을 보여줍니다. 서울 굿의 거상악과 대풍류 음악은 궁중에서 연주하는 음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서울 굿음악은 궁중음악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된 것입니다.

'한국 무당 풍습과 굿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도 굿의 특징과 유래  (0) 2024.02.09
경기 남부 굿과 음악  (0) 2024.02.09
바리공주 무가 스토리  (0) 2024.02.08
서울의 무당이 부르는 무가  (0) 2024.02.08
서울 한양굿판의 악사  (0) 2024.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