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무당 풍습과 굿판

황해도 굿판에서의 무가 종류

황해도 굿판에서의 무가 종류

황해도 굿판에서의 무가 종류
황해도 굿판에서의 무가 종류

황해도 굿에서 무당이 노래하는 무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황해도 굿판에서 부르는 무가는 신을 굿판에 청하는 청배(請陪) 무가 신을 찬양하고 놀리는 오신(娛神) 무가 신을 굿판에서 보내는 송신(送神) 무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중 청배무가는 신을 굿판에 모시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고 신성한 노래로 여겨집니다. 그렇기에 청배무가는 비교적 엄숙한 분위기에서 부릅니다. 황해도 굿에서는 청배무가로 만세바지류의 무가를 부릅니다. 만세바지는 인간이 오래 살기를 기원하는 '만세(萬歲)'라는 말과 '받는다'는 의미의 '바지'가 합쳐진 말입니다. 황해도 각 거리에서 모시는 신의 성격에 따라 만세바지 긴만세바지 자진만세바지를 부릅니다. 대개 중요한 신을 모시는 거리에서는 만세바지를 부르고, 덜 중요한 신을 모시는 거리에서는 빠른 장단으로 부르는 자진만세바지를 부릅니다.

오신무가

황해도 굿에서 오신무가로 부르는 노래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천수타령 명복타령 명타령 등의 타령류의 무가와 쑹거타령 배치기소리 등이 있습니다. 타령류의 무가는 대개 무당이 굿판의 단골을 축원하기 위해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 무가를 부를 때 무당은 서리화라고 하는 지화(紙花)에 정화수를 묻혀 단골을 축원한다든가 떡이나 술 등의 제물을 단골에게 나눠주면서 단골의 수명장수와 복을 기원합니다. 이런 노래들은 대개 비슷한 선율의 노래가 많은데, 특히 쑹거타령이나 천수타령, 명복타령 등의 노래는 하나의 모곡(母曲)을 변형시켜 만든 자곡(子曲)인 경우가 많습니다. 배치기소리는 본래 뱃사람들이 만선을 기원하거나 축하하면서 부르던 민요인데, 굿판에서도 단골의 명복을 기원하기 위해 부릅니다.

송신무가

황해도 굿에서 신을 굿판에서 보내는 송신무가로는 날만세바지를 부릅니다. 이는 '나간다'는 의미의 '날'을 붙인 것으로서 실제 음악은 자진만세바지와 같습니다. 실제 음악은 자진만세바지와 같습니다. 이런 동곡이명(同曲異名; 같은 곡인데 다른 제목을 갖는 것)의 무가가 굿판에는 많습니다. 이렇게 청배무가, 오신무가, 송신무가로 단순화시켰지만, 실제 굿판에서 이런 노래 외에도 무당은 무수히 많은 노래를 부릅니다. 특히 굿판에 모신 신을 놀리기 위해서 부르는 노래가 굉장히 많습니다.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난봉가와 같은 서도민요부터 창부타령과 같은 경기민요를 비롯하여 청춘가와 같은 신민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노래를 부릅니다. 심지어는 '뽕짝(트롯트)'도 많이 애창됩니다.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노래에는 장르가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