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무당 풍습과 굿판

시나위의 어원과 역사

시나위의 어원과 역사

시나위의 어원과 역사

전라도 굿의 반주음악을 시나위라고 합니다. 시나위란 용어는 경기도 이남을 비롯하여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동부에 이르는 세습무당권에서 굿판의 음악을 의미합니다. 시나위의 악기편성은 본래 삼현육각이었지만, 요즘 전라도에서는 피리, 대금, 장구, 북, 징 외에 아쟁이 더해지기도 합니다. 시나위의 어원은 고대시대의 '향가(鄕歌)'라고 합니다. 향가를 '사뇌가' 또는 '사내가'라고 했는데, '사뇌' 또는 '사내'가 시나위의 어원이라고 합니다. 향가를 우리는 국어시간에 문학작품으로 배웁니다. 그러나 향가는 '노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래 가(歌)'자를 쓰는 겁니다. 향가는 노래로 불렀고, 노래를 반주하는 음악이 있었을 겁니다. 향가가 결국 시나위의 기원이 되는 것입니다. 그만큼 시나위는 오랜 역사를 갖습니다.

전라도 굿 음악의 특징

전라도 굿에서는 대금과 아쟁이 중요한 선율악기로 쓰입니다. 서울과 이북 사람들은 높은 음을 선호하는 미학을 갖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피리와 해금처럼 높은 음을 내는 악기를 연주합니다. 전라도 사람들은 낮은 음을 선호하는 미학을 갖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금과 아쟁처럼 낮은 음을 내는 악기를 연주합니다. 아쟁은 활로 연주하기도 하지만, 가야금처럼 손가락으로 튕겨서 연주하기도 합니다. 이런 이중효과 때문에 여러 음악적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더욱이 아쟁의 깊고 구슬픈 소리는 죽은 이의 넋을 위로하는 악기로 손색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도 굿음악의 명인이었던 강한수가 아쟁을 씻김굿판에 소개한 이후 전라도 굿판에서는 아쟁을 많이 연주하게 됩니다.

시나위의 즉흥성

시나위는 굿판의 반주음악이기 때문에 뛰어난 즉흥성을 자랑합니다. 무당은 굿을 할 때마다 각기 다른 망자의 혼을 씻어줘야 하기 때문에 노래를 부를 때마다 즉흥적으로 노래를 부르기 마련입니다. 더구나 굿판에 모인 이들의 반응에 따라 얼마든지 즉흥적인 노래를 만들어가야 합니다. 이렇게 즉흥적인 무가를 반주 하다 보니 반주음악인 시나위도 즉흥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시나위는 한국 음악 중에서 가장 즉흥성이 뛰어난 음악으로 꼽힙니다. 요즘 시나위는 무대에서 공연을 하기도 합니다. 시나위 연주는 오랜 음악적 경험을 통해 명인 경지에 이른 연주자만이 할 수 있는 매우 고난도의 음악입니다. 전라도 굿판의 반주음악을 시나위라 합니다. 굿이 매우 가변적인 것이기 때문에 시나위는 매우 즉흥적인 특징을 갖습니다. 그렇기에 시나위는 한국 음악 중에서 가장 즉흥성이 뛰어난 음악으로 꼽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