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9)
경기 남부 굿과 음악 경기 남부 굿과 음악 서울의 굿과 비슷하지만 또 다른 경기 남부 굿음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기 남부 굿은 무업을 집안 대물림으로 이어받는 세습무당에 의해 전승되는 점에서 강신무당에 의해 전승되는 서울 굿과는 다릅니다. 그러나 경기 남부 굿은 세습악사가 음악을 연주하고, 서울 굿음악과 비슷한 굿음악을 연주한다는 점에서 서울 굿과 음악적으로는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경기 남부의 세습무를 통칭하여 '화랭이패'라고 합니다. '화랭이패'라는 용어는 신라의 '화랑(花郞)'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화랑은 정치·군사 지도자의 덕목을 쌓기 위해 문무를 갈고 닦기도 하지만, 종교적 신비체험을 경험하면서 심신을 단련하기도 합니다. 이런 화랑의 종교적 성격이 아직도 세습무당집단인 화랭이패에게 전승되는 것입니다. 화랭이패는..
서울의 무당의 춤과 의식을 반주하는 음악 서울 굿음악이 궁중음악의 영향을 받은 사례 서울은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의 수도였기 때문에 서울 굿음악은 궁중음악(court music)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예를 들어, 궁중에서 무용반주음악으로 연주하는 자진한잎[數大葉], lit. 'fast large leaf'이라는 음악을 서울 굿에서는 신을 모시기 위한 거상악(music for offering tables)으로 연주합니다. 자진한잎은 본래 성악음악인 가곡(lyric song)을 기악음악으로 만든 음악입니다. 자진한잎은 궁중에서는 주로 관악기 중심의 합주음악으로 궁중의 무용을 반주하는 음악입니다. 이 음악을 대금이나 단소 등의 독주음악으로 만든 것이 유명한 청성곡(lit. 'clean sound tune')이라고도 하는 청성자진한 잎입니다. 청성..
바리공주 무가 스토리 바리공주 무가 스토리 서울의 무당이 부르는 노래의 하나인 바리공주(Princess Bari)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리공주는 바리공주라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묘사한 장편의 서사무가(epic shaman song)입니다. 무가에는 바리공주처럼 주인공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장편의 이야기를 노래하는 서사무가가 많습니다. 바리공주는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퍼져있는 서사무가입니다. 바리공주는 오구대왕과 길대부인의 일곱 번째 딸입니다. 두 부부 사이에 여섯 명의 딸이 있었는데, 일곱 번째 아이도 딸이 태어납니다. 아들을 얻지 못해서 실망한 오구대왕이 일곱 번째 딸을 버렸다고 해서 '바리데기'라고도 하고 '바리공주'라고도 합니다. 오구대왕이 죽을병에 걸리고, 그의 병을 고칠 약은 서천국(Western Country)의 약..
서울의 무당이 부르는 무가 서울의 무당이 부르는 무가 서울 굿에서 주로 부르는 무가로 청배(lit. 'invite spiritis')) 만수받이(lit. 'receive ten-thousand years')) 노랫가락(lit. 'song tuens') 타령 등이 있습니다. 청배와 만수받이는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ushering songs)이고, 노랫가락과 타령은 신을 놀리는 오신무가(entertaining songs)입니다. 청배는 신을 굿판에 청하는 무가입니다. 서울 굿의 첫 굿거리인 부정거리(sequence to cleanse the ritual place)에서 부릅니다. 만신은 스스로 장구(hourglass shaped drum) 반주를 하면서 노래를 부릅니다. 처음에 보신 동영상이 바로 청배 무가입니다. 만수받이는 신을 청..
서울 한양굿판의 악사 서울 한양굿판의 악사 서울 굿의 음악은 남성 악사들이 연주합니다. 이들 악사들은 전문적으로 음악을 연주하는 이들이고, 집안 대대로 음악을 세습하는 세습음악인(hereditary musicians)입니다. 서울 굿판의 남성 악사를 '산이(사니)' 혹은 '전악(典樂)'이라고 합니다. '산(山)이'라는 명칭은 '산 속에 사는 중이나 도사'라는 불가의 용어에서 비롯된 것인 듯 합니다. 산방(山房, mountain clubs)의 우두머리인 산주(山主, head)를 의미하던 것이 굿판의 남성 악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된 것입니다. '전악'이란 명칭은 궁중음악의 영향인데, 예전에는 궁중의 악사(court musicians)를 전악이라고 했습니다. 서울 굿의 악사들은 집안 대대로 음악을 전승하는 세습음악집안 출신입니다...
서울의 무당의 특징 서울의 무당의 특징 서울 굿은 예전의 지명을 따라 지금도 '한양 굿(shaman ritual in Hanyang)'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한양은 조선시대 이래 700년 이상 수도(capital)로서 한국 문화의 중심지였습니다. 한양 굿, 즉 서울 굿도 오랜 시간 동안 무교의 중심지로서 가장 전통적인 굿 음악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서울 무당의 종류 서울 굿도 황해도 굿과 마찬가지로 강신무당(spirit-descended shaman)에 의해 전승됩니다. 한국의 무당은 강신무당과 세습무당(hereditary shaman)으로 구분합니다. 강신무당은 황해도와 서울 무당처럼 신이 될 징조인 신병(spiritual illness)을 앓고, 신내림굿(initiation ritual)을 받고, 굿을 하면서 신이 무..
황해도 무당의 춤과 음악적 특징 황해도 만신의 춤이란? 황해도 만신의 춤을 반주하는 음악은 다른 지방에 비해 그다지 많지 않은 편입니다. 황해도 굿판에서 가장 많이 보는 춤은 '연풍대'와 '도무(跳舞)'입니다. 이는 만신이 신을 굿판에 청하는 청배무가를 부른 후에 접신(接神)을 하기 위해 추는 춤입니다. 황해도 만신의 춤 특징과 음악 만신은 처음에는 느리고 우아하게 어깨춤을 추기 시작합니다. 춤동작이 점차로 빨라지면서 제자리에서 도는데, 이를 '맴 돈다'고 하거나 '연풍 돈다'고 합니다. 제자리에서 계속 도는 것을 '맴 돈다'고 하는 말입니다. 만신은 제자리에서 맴 돌면서 신이 만신의 몸에 내린다고 합니다. '연풍대(燕風臺)'는 사전이나 백과사전에서는 기생춤이나 검무, 승무, 농악무 등에서 도는 춤사위를 의미합니다. 연풍대가 청(淸)나..
만세바지 무가 특징과 설명 만세바지 무가 특징과 설명 만세바지 무가는 굿판에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로서, 황해도 무가 중에서 가장 중요한 노래입니다. 만세바지는 만수받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무가를 부르는 방식을 지칭하는 것이면서 그 노래에 딸리는 장단을 가리키는 명칭이기도 합니다. 만세바지는 '만세'와 '바지'의 합성어입니다. '만세(萬歲)' 혹은 '만수(萬壽)'는 오래 살기를 기원하는 의미입니다. '바지(받이)'는 만신이 앞소리를 메기면 장고잽이가 뒷소리를 '받는다'에서 나온 말로서 '바라지'라고도 합니다. 즉, 만세바지는 그 명칭에서 이 노래의 주제('수명장수')와 음악적 형식('메기고 받는 형식')을 함축한 것입니다. 만세바지의 장단은 '산유장단' 혹은 '모뇨리장단'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10/8박자로 흔히 판소리나 산조 등의..